본문 바로가기
목공관련 정보/안전관리 자료실

드릴의 안전수칙

by 협회관리자 2025. 3. 26.

드릴의 안전관리와 안전수칙

1) 드릴의 안전관리

전동기의 힘을 이용하여 목재에 구멍을 뚫고, 나사나 볼트를 조이고 푸는 작업을 쉽고 빠르게 작업하는 공구이다. 전동드릴의 분류은 두가지가 있다. 첫번째로 회전하는 방향이나 사용법, 목적 등에 따라서 총 3가지로 구분이되며 드릴 드라이버, 임팩트 드릴, 해머 드릴로 구분이 되고 두번째로는 유선과 무선으로 구분이 된다. 유선의 경우에는 직접 전기를 끌어다 쓰다보니 출력이 쌔지만 선이 있어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작업하기가 불편한 반면 무선의 경우에는 충전식 배터리를 사용하다 보니 휴대가 편리한하다. 유선보다는 출력이 부족하고 배러리 잔량에 따라 세기가 달라진다. 그래서 자주 쓰이는 현장에서는 전동드릴을 여러대를 비치해두거나 배터리만 여러개 가지고 있는 경우도있다.

 

이러한 드릴을 일반인과 전문 작업자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간혹 드릴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한다. 특히 드릴이 급작스런 부하가 걸려 드릴비트가 작업물에 꽉 물리고 반작용에 의해 드릴몸체가 급작스런 역회전에 걸리는걸 드릴 킥백이라 한다. 이러한 킥백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은 작업자의 안전수칙 준수와 공구 자체의 킥백 컨트롤(Kickback control)이란 기능이 있는 드릴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킥백 컨트롤이란 킥백현상이 발생할 때 드릴의 전원을 차단하여 작업자의 부상을 막는것이 킥백 컨트롤이다. 모든 기종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니 보유하고 있는 제품이 그러한 기능이 있는지 확인하고 사용하는 것이 좋다.

드릴의 안전수칙

 

 

 

 

관련자격증

등급:  1급 , 2급 , 3급
등급: 1급, 2급
등급:  1급 , 2급 , 3급
등급: 1급, 2급
등급:  1급 , 2급 , 3급